메인 메뉴 건너뛰기 내용 건너뛰기

HOME > 전주이야기 > 천년역사의 땅

HOME > 전주이야기 > 천년역사의 땅

인쇄 링크복사 카카오톡연동 트위터 페이스북

천년역사의 땅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판소리 본고장 전주,
한옥·한식·한지 등 한국적인 전통문화와 풍요, 여유로움을 꽃피우고,멋과 맛을 담고 있는 도시이다.

전라북도 도청 소재지 전주

역사를 보면 전주(全州)라는 지명이 처음 사용된 때는 신라 경덕왕 16년(757년)으로, 완산주를 전주로 개명하면서 지금까지 불려지고 있다. 1253년의 역사를 간직한 천년(千年)도시가 바로 전주이다. 900년 견훤이 세운 백제의 마지막 수도인 전주는 조선왕조 500년을 꽃피운 조선왕조 발상지이다. 조선시대에는 전라도 전 지역과 제주도까지 관할했던 전라도의 실질적인 수도로, 행정중심지로 큰 역할을 담당한 도시이다.우리나라에서 역사적으로 나라의 수도였던 곳이 6개소에 지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주는 도읍지의 요건을 갖춘 완벽한 도시 면모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주는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판소리의 본고장으로, 전통생활양식의 근간인 한옥·한식·한지 등 가장 한국적인 전통문화를 담고 있는 도시이다. 주변의 드넓은 평야와 바다가 연결되는 천혜의 지리적 조건을 갖춘 전주는 일찌감치 풍요의 고장으로 인정받았으며, 이러한 풍요와 여유로움은 전통문화를 꽃피우고, 섬세한 멋과 맛의 고장으로 천년 세월을 각인시킬 수 있었다.

천년고도 전주, 전주에도 4대문이 있었다

1907년 조선통감부의 폐성령에 의해 4대문 중 3대문이 동시에 철거되면서 현재 유일하게 풍남문만 일부가 남았지만, 분명 전주에도 4대문이 있었다. 동문은 완동문(完東門), 남문은 풍남문(南門), 서문은 패서문(沛西門), 북문은 공북문(供北門)이다. 현재 동문은 책방거리와 동부시장의 중간쯤(동문사거리)이며, 이곳에서 경기전을 안쪽으로 끼고 성곽을 축조, 현존하는 풍남문에서 남문을 이루었다. 다시 남문시장 도로를 따라 성곽이 이어져 현 다가동 파출소 앞에서 서문을 일으키고, 시네마 극장 앞 도로를 따라 성곽이 세워졌고 현 오거리(북문승강장)옆에서 북문을 일으킨 뒤 동문에 연결되는 형태가 전주성이다. (최창조·「한국의 풍수사상」) 한옥마을,풍남문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국 관광산업과 관광산업
담당자
권민지
063-281-5045
페이지만족도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전주시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내용을 보호하고 저작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한바탕전주전주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