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 건너뛰기 내용 건너뛰기

HOME > 음식/숙박 > 비빔밥 이야기

HOME > 음식/숙박 > 비빔밥 이야기

인쇄 링크복사 카카오톡연동 트위터 페이스북

비빔밥 이야기

전주비빔밥은 - 한국음식 BEST 1

조선 3대 음식 중 으뜸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대한민국 대표음식으로 외국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전주비빔밥은 한국음식 BEST 1이다.
전주의 10미중 하나인 콩나물로 지은 밥에 오색·오미의 30여가지의 지단, 은행, 잣, 밤, 호두 등과 계절마다 다른 신선한 야채를 넣어 만든 전주비빔밥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과 무기질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영양식품이면서 건강식품으로 선조들의 지혜와 과학적 우주의 원리가 담겨있는 세계인이 선호하는 완전식품이다.

전주비빔밥의 역사 - 궁중음식에서 유래

  • 비빔밥의 유래에는 궁중음식설, 음복설, 묵은 음식처리설, 동학혁명설, 농번기 음식설, 임금몽진 음식설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전주비빔밥은 궁중음식설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고, 궁중음식에서 서민음식으로전래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전주에서는 200여년전부터 이미 비빔밥을 즐겨먹었다.
  • '전주비빔밥'이 한국음식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사랑받게 된 것은 지역에서 나는 풍부한 좋은 식재료(전주10미)와 부녀자들의 좋은 음식 솜씨로 인해 오늘날의 '전주비빔밥'이 탄생하였다.

비빔밥의 명칭의 변천

문헌상으로 비빔밥의 명칭은 많이 바뀌었으나 지어놓은 밥에다 여러 가지 찬을 섞어서 한데 비빈다는 뜻은 차이가 없다.
  • 골동지반(骨董之飯) 조선 23대 임금인 순조(純祖) 때 홍석모가 저술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1849년)의 동지달편에 "骨董之飯"이란 말이 나온다.
  • 부븸밥양반가 음식책의 대표적인 것으로 작자미상 필사본인 시의전서(是議全書, 1800년대 말엽)에는 한자로 골동반[骨董飯, 汨董飯]이라 쓰고, 한글로 ‘부븸밥’이라 쓰여있다.
  • 부빔밥1913년 초판 발행된 이래 1939년 증보 9판까지 나온 방신영씨가 저술한 조선요리제법에서는 부빔밥이라 씌여 있다.
  • 비빔밥현재는 비빔밥이라는 명칭으로 쓰인다.

비빔밥 명칭의 변천 웹툰보기 비빔밥 음식점 리스트 바로가기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국 관광산업과 관광산업
담당자
김동원
063-281-2814
페이지만족도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전주시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내용을 보호하고 저작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한바탕전주전주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