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 건너뛰기 내용 건너뛰기

HOME > 추천여행 > 테마여행 > 역사문화 > 경기전

HOME > 추천여행 > 테마여행 > 역사문화 > 경기전

인쇄 링크복사 카카오톡연동 트위터 페이스북

경기전

경기전 사진

경기전 관람료

관람료
구분 전주시민이 아닌 관광객 전주시민
개인 단체(1인당) 개인 단체(1인당)
어른 3,000 2,500 1,000 800
청소년·군인 2,000 1,500 800 600
어린이 1,000 500 500 300

1. “어린이” : 만 7세 이상 만 12세 이하
 2. “청소년” : 만 13세 이상 만 24세 이하
 3. “군인” : 하사 이하의 군인과 의무경찰
 4. “어른” : 만 25세 이상 만 64세 이하
 5. “단체” : 20명 이상
1. “어린이” : 만 7세 이상 만 12세 이하
 2. “청소년” : 만 13세 이상 만 24세 이하
 3. “군인” : 하사 이하의 군인과 의무경찰
 4. “어른” : 만 25세 이상 만 64세 이하
 5. “단체” : 20명 이상
1. “어린이” : 만 7세 이상 만 12세 이하
 2. “청소년” : 만 13세 이상 만 24세 이하
 3. “군인” : 하사 이하의 군인과 의무경찰
 4. “어른” : 만 25세 이상 만 64세 이하
 5. “단체” : 20명 이상

무료입장

  • 만65세 이상 내국인, 만6세이하 영유아, 국가유공자증 소유자, 등록장애인 및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동반자 1인, 전주시 다자녀 우대증 소유자
  • 전주시 경기전 관리운영조례 제8조(무료관람)에 해당하는 사람

      운영시간 : 09:00~19:00

      • 하절기 6월 1일 ~ 8월 말까지 ( 09:00~20:00 )
      • 동절기11월 1일 ~ 2월 말까지 ( 09:00~18:00 ) ※ 관람권 매표시간은 오전 9시부터 관람시간 종료 1시간 전까지. ※ 경기전내 조경묘는 문화재 훼손방지를 위하여 관람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公演역사문화

      조선 왕조 500여년의 시간을 고스란히 간직한 역사의 상징
      역사(歷史)란 무엇인가?
      이어령은 '역사란 흘러가버린 시간이 아니라 괴어있는 시간, 미래를 향해 도리어 흘러 내려오는 그런 시간'이라고 말한다. 역사란 시간과 공간속에 머물러 있으되, 막히지 않고 두루 통(通)하여 눈과 귀가 열린 자에게 진리와 지혜, 용기를 전수하는 학습 공간이자 체험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무릇 역사야 말로 살아있는 스승이며 진리의 보고(寶庫)이자 미래의 등불인 셈이다.
      그런 점에서 전주 경기전은 조선 5백년 역사의 시작이자 민족의 기개가 펄펄 살아있는 현재 진행형의 역사이며 우리 민족의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도리어 흘러 내려오는 그런 시간'이다. 도심 속, 고즈넉한 유적지에 도대체 어떤 이야기가 담겨 있는 것일까. 마음의 눈을 뜨게 하는 역사의 기운을 찾아 발걸음을 옮겨보자.
      경기전 사진
      • 경기전은 조선왕조를 연 태조의 초상화, 즉 어진을 봉안하고, 제사를 지내기 위해 태종 10년(1410년) 지어진 건물이다. 전주, 경주, 평양 등의 어진 봉양처를 처음에는 어용전이라고 불리었는데, 태종 12년(1412년)에 태조 진전(眞展)이라 하였다가 세종24년(1442년)에 전주는 경기전, 경주는 집경전, 평양은 영숭전이라 각각 칭하였다. 경기전은 선조30년(1597년)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으나 광해군6년(1614년) 중건되었다.
      • 경기전은 누구든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신성함을 표시한 하마비, 붉은 색칠을 한 홍살문, 외신문, 내신문 그리고 어진을 모신 정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왕실 사당임을 감안할 때 신문(神門)이라고 호칭되며 홍살물 안쪽 내·외신문의 세 문을 통과할 땐 '동입서출', 다시 말해 동쪽(오른쪽)으로 들어가 서쪽(왼쪽)으로 나와야 한다. 가운데는 태조의 혼령이 드나드는 '신도'이기 때문이다. 경기전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어진 봉안과 함께 전주사고(史庫)가 설치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안고 있다. 경기전에 사고가 설치된 것은 1439년(세종21년)의 일이다.
      경기전 사진

      경내에는 태조의 영정을 봉안한 경기전(유형문화재 제2호)과 그의 22대조이며 전주 이씨의 시조인 신라 사공공(司空公) 이한(李翰) 부부의 위패를 봉안한 조경묘 (肇慶廟·유형문화재 제16호)가 있다. 특히 태조 어진(국보 제317호)과 함께 현존하는 조선왕조 어진들이 모셔진 어진박물관도 자리하고 있다.

      경기전 사진
      • 경기전이 오랫동안 관광객과 시민들로부터 사랑을 받아온 이유 가운데 하나는 도심속에 담긴 고풍스러운 모습과 우거진 수목 덕분이다. 경기전에는 다양한 수종의 나무가 있다.

      어진박물관 바로가기

  • 전주문화재야행 바로가기

    • 경기전 사진경기전 사진
    • 경기전 사진경기전 사진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국 전통문화유산과 문화유산
    담당자
    홍아미
    063-281-5139
    페이지만족도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전주시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내용을 보호하고 저작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한바탕전주전주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