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 건너뛰기 내용 건너뛰기

HOME > 추천여행 > 테마여행 > 역사문화 > 오목대 • 이목대

HOME > 추천여행 > 테마여행 > 역사문화 > 오목대 • 이목대

인쇄 링크복사 카카오톡연동 트위터 페이스북

오목대 • 이목대

오목대,이목대 사진

公演역사문화

뒤에 오목대를 나는 매양 오른다.
허술한 주역각(駐驛閣)은 외로이 서 있으며 줄비한 몇 만 가옥이 내려다 다 보인다.
그 옆의 자만동(滋蔓洞)은 목조의 고적지요.
그 뒤의 발산(鉢山)은 이르노니 발이산(發李山)과연 그 오백년 왕기가 여기 결인(結因) 하였던가.
-이병기 시인의 시 '梧木臺(오목대)'

한옥마을 전경을 바라볼 수 있는 곳, 승암산 자락에 자리 잡았으나 전라선 철도가 부설되면서 맥이 끊긴 나지막하게 솟은 펑퍼짐한 언덕바지, 기린로에서 태조로를 따라 좌측으로 보이는 곳이 오목대이며, 오목대와 연결되어 있는 육교 건너편으로 70m쯤 위쪽으로 가면 승암산 발치에 태조 이성계의 5대조 목조 이안사가 전주를 떠나기 전에 살았던 구거지임을 알리는 이목대가 자리잡고 있다.
오목대,이목대 사진
  • 오목대는 이성계가 남원 운봉 황산에서 발호하던 왜구 아지발도(阿只抜都)의 무리를 정벌하고, 승전고를 울리며 개선하여 개경으로 돌아갈 때 전주의 이곳에서 야연(夜宴)을 베풀었다는 곳이다. 여기에서 이성계는 한나라를 건국한 유방이 불렀다는 대풍가를 읊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즉 자신의 새로운 나라를 세우겠다는 야심을 넌지시 비쳤다. 오목대와 이목대에는 고종의 친필로 새긴 비석이 세워져 있고, 비각이 건립되어 있다. 조선왕조의 몰락을 거부하고 전통 왕조의 재건을 강건히 하고자 했던 고종황제가 1900년 오목대에 '태조고황제주필유지'라는 비와 비각을 세운 것도 조선의 본향으로서 전주라는 도시의 정체성을 대변한다.
  • 태조께서 머무셨던 유적지, 조선의 임금으로 나라의 문을 닫는 황제가 그 나라의 문을 열었던 조상의 웅보 머무신 자리에 한 점 필묵을 피처럼 눈물처럼 떨구어 점점이 새긴 글귀가, 언덕 아래 자만동(滋蔓洞) 밥 짓는 저녁연기 쏘이면서, 푸른 비면(碑面) 자욱토록 이끼가 돋고 있다. 大風起兮雲飛揚 (대풍기혜운비양) 센바람 부니 구름이 높날리네 威加海內兮歸故鄕 (위가해내혜귀고향) 위엄을 해내에 더하고 고향으로 돌아가네 安得猛士兮守四方 (안득맹사혜수사방) 어떻게 용맹한 군사들을 얻어 사방을 지킬까? -'대풍가'
오목대,이목대 사진
  • 오목대,이목대 사진오목대,이목대 사진
  • 오목대,이목대 사진오목대,이목대 사진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문화관광체육국 관광산업과 관광산업
담당자
김동원
063-281-2814
페이지만족도

실시간 문자채팅 안내

이 문자채팅 관광안내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임

바로 채팅창 열기(자체 채팅 앱)

사용중인 메신저앱 열기(해당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
전주시가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의 내용을 보호하고 저작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54994)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대표전화: 063)222-1000
COPYRIGHTⓒ 2015 JEONJU CITY. ALL RIGHTS RESERVED.
한바탕전주전주문화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