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산1동 자치센터 현황
- 동의 연혁 및 역사적 배경
- 1914. : 행정구역 폐합으로 "화한리"라 하여 이동면에 편입
- 1940. 10. 01 : "전주부"에 편입되어 "화산정"이 됨
- 1949. 08. 15 : 법률 제32호로 "전주부"가 "전주시"로 개칭
- 1946. : 일본식 동명인 "정"을 "동"으로 고치고 남,북2동으로 분리
- 1957. 12. 12 : 전주시조례 제108호에 의거 남화산동은 서완산동에 넘겨주고, 중산동을 편입해 중산과 화산의 이름을 합하여 중화산동 이라는 동시에 북화 산동을 중화산동1가로, 중산동을 중화산동 2가로 분리
- 1973. 07. 01 : 대통령령 제6542호에 의하여 1가, 2가를 합하여 중화산동이 됨
- 1989. 05. 01 : 전주시조례 제1591호에 의거 완산구 설치로 완산구 편입
- 1996. 09. 01 : 전주시조례 제2043호에 의거 중화산1동, 2동을 분동
- 1997. 10. 27 : 현 청사로 이전
- 선너머 : 조선조 태종 10년에 경기전이 造營되자 인접하고 있는 향교에서 독강 하는 소리가 시끄러워 聖靈을 안위케하는데 어긋난다고 하여 향교를 전주부의 서 쪽 화산기슭인 삼계리에 이전하여 2백여년간 유지하였으나, 구한말 전라감사로 부임한 이완용이 풍수지리상 명당인 이곳에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자 철거하고 중화산동 2가 산 13번지에 서원비를 세웠다. 이러한 연유로 華山을 넘어 書院이 있다고 하여 화산서원 넘어라는 뜻의 서원너머(선너머)라고 불렀으며, 서원너머에서 나오는 미나리는 전주 八味로 이름나 있었으나 택지개발로 현재는 생산되는 않는다.
- 강당재 : 경기전에 인접해 있던 향교를 서원너머로 옮기고 華山書院을 설립, 요즘말로 학교군이 형성된 현재의 예수병원 주위는 항상 많은 선비들이 모여들었으 며, 조석으로 교실(강당)을 향해 오르내리던 고개라고 하여 강당재라 하였음.
- 따박골 : 완산칠봉의 한 봉우리인 용두봉을 서편으로 내려가면 용의 목줄기라 하는 가파른 바위길이 있어 이길을 따라 내려가면 쌍용골 구릉지대로 접어들게 되 는데 이 일대를 따박골 또는 따비골 이라 한다.
- 유연대 오두지맥이 있다 해서 붙여진 가마귀골과, 완산칠봉 동남 기슭의 우람한 산악이 포물선을 그으며 전주천의 물살을 끼고 진북사에 이른 잔등 유연대가 있다. 유연대는 동 터오르는 새벽의 산등성이가 마치 龍이 여의주를 토해내듯 주황빛으로 찬란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중화산1동 자치위원회 명단
연번 |
직 위 |
성 명 |
성별 |
비고 |
1 |
상임고문 |
이기동 |
남 |
|
2 |
상임고문 |
장병익 |
남 |
|
3 |
고문 |
김종기 |
남 |
|
4 |
고문 |
지은숙 |
여 |
|
1 |
위원장 |
윤영지 |
남 |
|
2 |
부위원장 |
김성철 |
남 |
|
3 |
사무국장 |
홍성권 |
남 |
|
4 |
재무국장 |
노선옥 |
여 |
|
5 |
감 사 |
이종창 |
남 |
|
6 |
운영
분과위원장 |
박성녀 |
여 |
|
7 |
교육·문화
분과위원장 |
최영애 |
여 |
|
8 |
환경·복지
분과위원장 |
윤욱희 |
여 |
|
9 |
위원 |
이근수 |
남 |
|
10 |
위원 |
이일순 |
여 |
|
11 |
위원 |
변은숙 |
여 |
|
12 |
위원 |
정인표 |
남 |
|
13 |
위원 |
박인숙 |
여 |
|
14 |
위원 |
안병숙 |
여 |
|
15 |
위원 |
오임선 |
여 |
|
16 |
위원 |
박진용 |
남 |
|
17 |
위원 |
조선이 |
여 |
|
18 |
위원 |
김옥자 |
여 |
|
19 |
위원 |
김강윤 |
여 |
|
20 |
위원 |
전윤주 |
여 |
|
21 |
위원 |
김신숙 |
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