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래 마이크를 클릭하세요!

닫기

음성인식중 말씀해주세요.

닫기

[000]

"000"로 검색이 완료되었습니다.
결과페이지로 이동하시려면 "확인"버튼을 눌러주세요.

취소 확인

환경용어

전체 87 페이지 8 / 9
가나다 색인
ABC 색인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조류 Algae
일반적으로 수중에 생육하는 부유식물의 총칭이며, 무기물을 섭취하고 광합성을 하는 단세포 식물이다. 호수와 늪 저수지, 하천 등에 널리 존재하며 수처리시 냄새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산화지에서는 산소공급에 공헌하는 것도 있다. 종류가 대단히 많은데, 수처리에 관계가 깊은 것은 남조류,녹조류,홍조류 등이다.
중수도 Water Reuse System
빌딩, 주택단지 등에서 하수를 처리하여 음료수 이외의 생활용수 등으로 재 이용하는 것이다. 상수도와 하수도의 중간에 위치한다는 뜻으로 비롯된 말인데, 세척용수나 살수용수 등 신체에 직접 닿지 않는 잡용도에만 쓰이기 때문에 '잡용수' 라고도 한다. 중수도는 상수도의 공급력이 한계에 이르렀거나 하수도가 받아들이는 능력이 부족할 때 상수의 소비와 하수의 배출을 억제하는 데에 유용하게 쓰인다.
지구온난화 현상 Global Warming Phenomena
지구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수 있는 것은 태양으로 부터 오는 에너지를 공기중에 있는 수증기와 이산화탄소가 흡수해서 다시 지구 밖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이산화탄소가 점차 늘어나자 점점 더 적외선을 많이 흡수해 가두게 되고 따라서 지구의 온도가 점점 올라가게되는 것이다.
지구온난화지수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지구온난화지수는 각각의 기체들을 기준이 되는 기체들과 비교했을 때 대기하층에서 성층권까지의 상대적 가열정도의 측도로서 나타내어진 것. 이산화탄소 1kg과 비교 어떤 온실 기체가 대기중에 방출된 후 특정기간 동안 그 기체 1kg의 가열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평가하는 척도, 100년을 기준으로 CO2를 1로 볼 때 CH4가 21, N2O가 310, HFCs가 1,300, PFCs가 7,000, SF6가 23,900.
지속가능한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
1970년대 초반 한 생태학자가 최초로 이 말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로마클럽의 제1차 보고서 「성장의 한계」(1972년)는 환경과 개발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는 자리에서 이 말의 등장 배경을 간략히 밝힌 바 있다. 1974년 유엔과 유엔 무역개발회의 (UNCTAD) 공동개최 선언에서 처음으로 공식 사용되었다. 1970년대 후반 환경 관계자들 사이에 자주 사용되었던 이 말은 1980년 세계 자연보전 전략에서 국제 자연보호연합 (lUCN), 유엔 환경계획(UNEP), 세계 자연보호기금(WWF) 등의 공동 합의로 공식 개념이 되었다. 아울러 생태계·생명계의 유지, 생물종의 다양성 보전, 자원의 지속적 이용 확보 등이 거론되었다. 그 후 지속가능한 사회, 지속가능한 생활 등 유사한 단어들이 등장하였다.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해서 〈환경과 개발에 관한 세계위원회〉(유엔이 설치함)는 1987년 발표한「우리들의 공통된 미래」에서,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개발' 이라 정의하고 있다. 이를 위한 세계적 전략으로서 성장 회복, 질적 변화, 노동·식량·에너지 등의 충실, 인구의 지속가능한 수준유지, 자원의 기반, 기술 진전 등을 들고 있다. 그런데 이 말은 등장 이래 그 시비 여부와 채택을 둘러싸고 가장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발전의 영속성을 가리키는 것인가, 아니면 영속적 발전을 가리키는 것인가,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현대산업이 영속적인가, 생물자원에 의존하는 농림업을 중시하는 것인가 하는 논의들이다. 또한 남쪽 나라들은 개발의 권리가 있고, 북쪽여러 나라에서는 더 이상의 개발이 무리라는 견해와 함께 유한한 지구 생태계 안에서 영속적인 경제성장이 가능한가라는 논의도 있다. 1992년 6월 브라질에서 개최된 「환경과 개발에 관한 유엔 회의」는 '지속가능한 개발' 을 주제로 한 금세기 최대의 회의였다.
집진장치
분쇄장치나 굴뚝, 원료 퇴적장 등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분리하여 모이는 장치로 전기집진장치, 관성력집진장치, 여과집진장치, 음파집진장치, 습식집진장치 등 입자가 가진 성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있다. 집진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이 집진율이다.
총량규제
농도규제에서 한 걸음 나아가 오염배출의 총량을 규제하는 방식이다. 기본적으로는 지정 지역내의 특정 사업장이 대상이고, 수질에서는 COD가 지표가 되며, 대기에서는 사업장 등에서 배출하는 이산화황과 이산화질소가 규제되고 있다. 그러나 수질에서는 생활폐수, 대기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가 규제되지 않는 등 불충분한 점이 많아 개선 효과는 그다지 없는 편이다.
특별대책지역
환경의 오염 또는 자연 생태계의 변화가 현저하거나 현저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정하여 토지의 이용이나 시설의 설치제한 등 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한 특별종합대책이 실시되는 지역을 말합니다.
피피엠 피피비 PPM PPB
피피엠은 parts per million의 약칭으로 100만분의 1PPM을 말하며 무게분율 (W/W PPM)과 부피분율 (V/V PPM)이 있고, 1㎎/ℓ를 1PPM이라고 할 경우에는 용질 1㎎ 이 비중1인 용매1ℓ에 용해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피피비는 parts per billion의 약칭으로 ppm의 1/1000, 즉 10억분의 1 을 말한다.
한계치사농도 Tolerance Limit Median TLM
어류에 대한 급독성물질의 유해도를 나타내는 수치의 하나로 어류의 급성 독성물질이 함유된 배수의 희석액중 일정시간 사육하여 그곳의 물고기의 50%가 살아 남을 수 있는 배수의 농도를 나타난다. 보통 24, 48 또는 96시간의 TLm값이 구해지며 각각 24TLm, 48TLm, 96TLm등으로 나타낸다.
1 2 3 4 5 6 7 8 9